강호사시가(江湖四時歌) - 맹사성
江湖(강호)에 봄이 드니 미친 興(흥)이 절로 난다.
濁樂溪邊(탁요계변)에 錦鱗魚(금린어)ㅣ 안주로다.
이 몸이 閒暇(한가)해옴도 易君恩(역군은)이샷다.
(풀이)
강호에 봄이 찾아오니 참을 수 없는 흥이 절로 난다.
시냇가에서 막걸리를 마시며 즐기고, 싱싱한 물고기가 안주로다.
이 몸이 한가하게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이시다.
▷흥겹고 한가로운 강호 생활 - 춘사(春詞)
江湖(강호)에 녀름이 드니 草堂(초당)에 일이 업다.
有信(유신)한 江波(강파)난 보내나니 바람이다.
이 몸이 서날해옴도 易君恩(역군은)이샷다.
(풀이)
강호에 여름이 찾아오니 초당에 있는 나는 할 일이 없다.
신의가 있는 강의 물결은 보낸는 것이 시원한 바람이다.
이 몸이 시원하게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이시다.
▷초당에서 지내는 한가로운 강호 생활 - 하사(夏詞)
江湖(강호)에 가을이 드니 고기마다 살져 잇다.
小艇(소정)에 그물 시러 흘리두 띄여 더뎌 주고,
이 몸이 消日(소일)해옴도 易君恩(역군은)이샷다.
(풀이)
강호에 가을이 찾아오니 물고기마다 살이 올라 있다.
작은 배에 그물을 싣고 가서 물결 따라 흐르게 던져 놓고,
이 몸이 소일하며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이시다.
▷강에서 고기를 잡으며 즐기는 생활 - 秋詞(추사)
江湖(강호)에 겨월이 드니 눈 기?픠 자히 남다.
삿갓 빗기 쓰고 누역으로 오슬 삼아,
이 몸이 칩지 아니해옴도 易君恩(역군은)이샷다.
(풀이)
강호에 겨울이 찾아오니 쌓인 눈의 깊이가 한 자가 넘는다.
삿갓을 비스듬히 쓰고 도롱이를 둘러 덧옷을 삼으니,
이 몸이 춥지 않게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이시다.
▷삿갓과 도롱이로 추위를 막을며 만족하는 강호 생활 - 동사(冬詞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