면앙정가(?仰亭歌) - 송순
无等山(무등산) 한 활기 뫼희 동다히로 버더 이셔, 멀리 떼쳐 와 霽月峰(제월봉)의 되어거날, 無邊大野(무변대야)의 므삼 짐쟉 하노라, 일곱 구배 할머움쳐 므득므득 버려난 닷. 가온대 구배난 굼긔든 늘근 뇽이, 선잠을 갓 깨야 머리랄 안쳐시니.
너라바회 우해 松竹(송죽)을 헤혀고 亭子(정자)를 안쳐시니, 구름 탄 靑鶴(청학)이 千里(천 리)를 가리라 두 나?릐 버렷난 닷.
(풀이)
무등산 한 줄기 산이 동쪽으로 뻗어 있어, (무등산을) 멀리 떼어 버리고 나와 제월봉이 되었거늘, 끝없는 넓은 들에서 무슨 생각을 하느라고 일곱 굽이가 한데 움츠려 우뚝우뚝 벌여 놓은 듯하다. (그 중에서) 가운데 굽이는 구멍에 든 늙은 용이 선잠을 막 깨어 머리를 얹혀 놓은 듯하다. (제월봉의 위치와 형세)
너럭바위(넓고 평평한 바위) 위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헤치고 정자를 앉혔으니, 구름을 탄 푸른 학이 천 리를 가려고 두 날개를 벌린 듯하다. (면앙정의 모습)